부동산 거래 시 다운계약서 유혹, 하면 안되는 진짜 이유

Photo of author

By DataBank

1. 부동산 다운계약서란?

1.1 정의 및 개념

다운계약서란 부동산을 거래할 때 실제 거래 금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허위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을 말합니다. 이는 주로 취득세, 등록세, 양도소득세 등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며, 겉으로는 실거래가를 숨기는 방식입니다.

1.2 왜 발생하는가?

  • 세금 절감 목적: 실거래가보다 낮은 금액을 신고하면 취득세와 양도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.
  • 대출 한도 조정: 낮은 가격으로 계약서를 작성해 대출 심사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  • 부동산 상승기: 시세가 급등한 경우 실거래가 신고를 피하려는 목적이 많습니다.

그러나 이는 단기적 이익을 취하려다 장기적으로 막대한 손해를 입는 대표적인 불법 행위입니다.


2. 다운계약서 작성 시 불이익

2.1 과태료 및 형사처벌

  • 실거래가 신고 위반 시 최대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
  • 고의성이 입증되면 형사처벌 가능 (최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벌금)

2.2 세금 추징 및 불이익

  • 양도소득세 추징: 실제 거래가 기준으로 소급 적용되어 추징됨
  • 국세청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음
  • 금융기관 대출 불이익 발생 가능

2.3 중개사와의 연대 책임

부동산 중개업자도 공동책임을 질 수 있으며, 자격 정지 또는 등록 취소 등의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
3. 실제 적발 사례와 처벌 수위

3.1 국세청 발표 사례

  • 2023년 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 거래에서 2억 원 다운계약서를 작성한 부부가 적발되어 양도세 4천만 원 추징 및 과태료 500만 원 부과
  • 2024년에는 다수의 중개업소가 연루된 다운계약 사례가 적발되어 중개업소 등록 취소 및 형사 고발

3.2 행정처분 및 법적 결과

  • 처벌 수위는 거래 규모와 고의성에 따라 달라지며, 가족 간 거래라 해도 예외는 없습니다.
  • 일부 사례에선 부동산 계약 자체가 무효로 판단되기도 했습니다.

4. 부동산 거래 시 주의사항 및 예방 방법

4.1 실거래가 신고 원칙 준수

  • 계약 체결 후 30일 이내에 정확한 실거래가 신고 필수
  • 허위 신고는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위반

4.2 중개업소 선택 시 체크리스트

  • 등록된 공인중개사 여부 확인
  • 과거 신고 이력 및 평판 체크
  • 다운계약서를 유도하는 경우 즉시 계약 중단

4.3 유혹을 거절하는 법

  • “다들 그렇게 해요”라는 말에 속지 마세요.
  • 다운계약서 작성 요청은 녹음 또는 증거로 확보 후 거절
  • 세금 컨설턴트 또는 전문가에게 사전 상담 권장

5. 마무리 요약 및 실전 조언

다운계약서는 한 순간의 유혹이지만, 결과는 금전적, 법적, 신뢰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실거래가 정직하게 신고하기
중개업자의 정당성 확인하기
유혹을 받았을 땐 거절하는 용기 가지기

이 세 가지 원칙만 지켜도 부동산 거래를 안전하고 합법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.
부당한 유혹보다는 정직한 거래가 결국 가장 큰 이득임을 잊지 마세요.

댓글 남기기